성인 비만과는 다른 소아비만, 위험성과 치료방법

2023. 6. 19. 15:47건강꿀팁&정보

728x90
반응형

[성인 비만과는 다른 소아비만, 위험성과 치료방법]

성인비만보다 위험한 소아비만! 알고 계셨나요? 소아비만은 점점 증가하고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어른과 아이 모두 비만율이 높아졌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 활동량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합니다. 소아청소년 시기에 생긴 비만은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후에도 각종 질병과 합병증의 유병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시기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소아비만이란? 

 

소아비만은 어린이나 청소년의 과다한 체지방 축적으로 인한 비만 상태를 의미합니다. 소아비만은 일반적으로 성장 및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체질량지수(체중(kg)÷{키(m) x 키(m))가 성별과 나이를 기준으로 85~94.9 백분위수는 과체중,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나오게 됩니다.

소아비만같은 경우에 조금 더 주의해서 지켜봐주셔야 하는이유는 성인이 된 이후에 살이 찌게 되면 지방세포의 크기만 커지지만 소아 시기에 살이 찌게 되면 지방세포의 수가 같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나중에 다시 다이어트를 하더라도 지방세포의 수는 줄어들지 않고 크기만 줄어들기 때문에, 다시 비만으로 돌아갈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소아비만의 위험성 

 

소아비만은 많은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는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절 문제, 호흡기 장애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인 문제인 낮은 자신감과 우울증 등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자아이같은 경우 지방에는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호르몬이 포함되어 있기 떄문에 초경이 남들보다 빨리 오게 되고, 사춘기가 빨라지면서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가 빨라질수있습니다.

최근 한 논문에서 BMI(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사춘기에 일찍 들어가게 된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만은 어릴 때부터 관리를 잘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심혈관 질환

비만은 고혈압, 동맥 경화증, 협심증 및 심장 질환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어린이에서 심혈관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당뇨병

비만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과다한 체지방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혈당 조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고지혈증

비만은 혈중 지질 수치를 높일 수 있으며, 고지혈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동맥경화의 위험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4. 관절 문제

비만은 과도한 체중이 관절에 가해지므로, 슬관절, 무릎 등의 관절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통증, 기능 장애 및 관절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심리적 영향

비만은 자아존중감 저하, 우울증, 불안감 등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소아비만은 건강 문제와 심리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적절한 식단, 신체 활동, 가족의 지원,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아비만의 치료 

 

신체는 자기 체중을 감지하고 유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청소년시기에 체중감량이 이루어져도 성인기까지 유지하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그래서 감량보다도 중요한것은 체중유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식사는 무조건 줄이는 것이 아니라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 위주의 식사로 전환합니다.
  • 탄수화물은 평소의1/3으로 줄이도록 합니다.
  • 우선 활동량을 늘려서 열량 소모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을 한 두가지 정도 꾸준히 하도록 합니다. 아이가 좋아하고 하고 싶어 하는 운동을 선택하도록 해주세요.
  • 빵이나 과자류, 음료수, 밥, 치킨, 피자,라면 등의 섭취를 주1회 정도로 줄입니다.
  • 간식은 열량이 적고 섬유질이 많은 과일, 야채로 바꿔주는것이 좋습니다.
  • 잔소리보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며 식단을 스스로 조절하면 칭찬을 하면서 격려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러나, 소아비만에 무리한 다이어트는 금물입니다.

처음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며 의료 전문가와, 부모와 아이에게 맞는 체중조절 방법들을 찾아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참고하시어, 적절한 소아비만 치료를 통해  우리아이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