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혈당 스파이크 란? 혈당스파이크 증상/예방법

2023. 11. 6. 05:30건강꿀팁&정보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당뇨병 위기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50·60 성인 2명 중 1명꼴로 당뇨병 고위험군인 셈인데요! 당뇨병은 한 번 시작되면 치료와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의 관리 수준이 훨씬 더 엄격해질 뿐 아니라 조절에 소홀하면 심각한 합병증까지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뇨병 전 단계’는 위기이자 한 번 더 노력해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오늘은 혈당스파이크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혈당 스파이크란??

혈당이 급격히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면서 혈당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혈당 스파이크’
흰쌀, 설탕 등 정제된 탄수화물을 과다하게 섭취한 후 체내 혈당수치가 급격히 치솟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이 반복되면 혈관 내피세포와 췌장 내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당뇨 발병 위험을 높이고 증상을 심화시켜 각종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식사 후 졸음이 쏟아지는 증상을 자주 경험한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혈당 스파이크’ 증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특히 젊은 사람들은 단순 춘곤증, 식곤증으로 여기기 쉬운데, 최근 젊은 당뇨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의심 증상을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당뇨 전단계

당뇨 전 단계란 말 그대로 당뇨병은 아니지만 혈당수치가 정상 기준을 초과한 상태입니다. 정상 공복혈당인 100mg/dL를 초과하고 126mg/dL 미만일 때, 식후 혈당이 140mg/dL를 초과하고 180~190mg/dL를 반복하며 200mg/dL 미만일 때를 말합니다. 이를 초과하면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당뇨병 진행

당뇨병으로 진행되면 ‘삼다(三多) 증상’이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소변량이 증가하는 ‘다뇨’, 물을 많이 마시는 ‘다음’, 식욕이 증가하는 ‘다식’이 있습니다.

식후 혈당이 300~400mg/dL으로 넘어가게 되면 음식이 계속 당기고, 갈증을 느끼고, 배뇨를 자주 하고, 체중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이는 혈당이 높아야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조기검진 등을 통해 자신의 혈당수치에 관심을 갖고 당뇨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혈당스파이크, 당뇨 예방은?



1. 아침식사를 바꾸세요.
혈당 관리에 있어 아침식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아침을 거르게 되면 다음 식사에 과식을 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혈당 또한 급상승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아침을 먹기는 하되,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탄수화물, 특히 단순당보다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복합당을 드셔야 합니다.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은 혈당이 오르는 속도를 더디게 하므로 함께 섭취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2. 밥을 먹었다면 10분이라도 움직이세요.
가벼운 활동을 통해 팔과 다리로 혈액이 이동하면, 소화가 천천히 이루어지고 당의 흡수 또한 지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사 후에는 집안일을 하거나 근처 산책을 해보세요. 이것도 어렵다면,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맨손체조를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3.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거나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을 보충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우선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는 가장 대표적인 영양성분으로는 마그네슘과 크롬이 있습니다. 인슐린 작용을 강화하기 때문인데요. 특히 크롬은 체지방을 연소시키고 근육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나바나무의 잎에서 추출한 바나바잎추출물이 식후 혈당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는데요. 코로솔산이라는 성분이 천연 인슐린 역할을 하여, 혈당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식이섬유의 일종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이라는 성분 또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오메가3를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오메가3는 기본적으로 우리 몸 곳곳의 염증 반응을 줄일 뿐만 아니라, 중성지방을 낮추는 등 혈관 건강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되도록 가정식을 먹고, 배달음식을 시킬 때에는 너무 기름진 음식,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피해야 혈당 스파이크, 당뇨병, 비만 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피할 수 있습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