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참여대상,도시가스 절약 꿀팁, 가스 아끼기

2024. 1. 15. 00:45일상정보&꿀팁

728x90
반응형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절약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동절기(12~3월)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30%한도, 10원단위 절사)



* 절감노력을 수반하지 않는 기온상승에 따른 자연감소에 대한 온도 보정계수 적용 예정
ex) 동절기(12~3월) 기온이 평년기온 대비 1°C 상승 시 5%p 자연 감소되므로, 1°C 상승 시 8%로 기준 변경











참여대상

‘주택난방용(개별난방/중앙난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 가능(취사용 제외)
단,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절감기간 : `23.12 ~ `24.3월, 비교기간 : `22.12 ~ `23.3월


① 전출 • 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②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산업용, 업무난방용 등) 사용자
③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
④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⑤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⑥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기간


신청기간

2023. 12월 ~ 2024. 3월 (4개월)

절감기간

2023. 12월 ~ 2024. 3월 (2024. 1월 ~ 2024. 4월 고지서 발행분)

비교기간

2022. 12월 ~ 2023. 3월 (2023.1월 ~ 2023. 4월 고지서 발행분)









지급기준

캐시백 지급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 절감노력을 수반하지 않는 기온상승에 따른 자연감소에 대한 온도 보정계수 적용 예정
   ex) 동절기(12~3월) 기온이 평년기온 대비 1°C 상승 시 5%p 자연 감소되므로, 1°C 상승 시 8%로 기준 변경








캐시백 신청방법

· k-가스캐시백 사이트(k-gascashback.or.kr)를 통해 가입
* 회원가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k-gascashback.or.kr 캐시백

주요일정 안내
신청기간 2023.12. 1 ~ 2024. 03. 31 (4개월)
절감기간 2023.12. 1 ~ 2024. 03. 31 (4개월)
절감량 산정기간 2024. 5월 ~ 6월
장려금 지급시기 2024. 7월 ~ 8월



캐시백 신청기간은 3/31까지니 늦지않게 미리미리 신청해야겠네요😊😊










도시가스 절약하는 방법

절약





실내온도를 1℃만 낮춰도 7%를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 슬기로운 난방 생활이 지구를 살리고, 대한민국을 에너지 위기에서 구합니다.





실내 적정 난방 온도(18~20℃) 설정하기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0℃ 에서 1℃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이상 상승하게 되며,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덥다고 느껴 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 시키는 경우에 가스 소비량이 큽니다.
실내 난방온도를 1℃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량을 7%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적정 습도(40~60%) 유지하기

보일러 가동과 함께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해주세요.
실내에서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리기

수도꼭지 방향이 온수로 돌아가있는 상태에서 수도꼭지를 튼 후 냉수로 돌리는 경우 순간적으로 보일러가 가동되어 난방비가 좀 더 나올 수 있습니다.





방한용품 활용하기

난방은 보일러나 보조 난방 기기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높이는 것 보다 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외부의 찬 기운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이른바 뽁뽁이라 불리는 에어캡이나 커튼, 카페트, 난방텐트 등 을 활용하면 실내 온도를 지속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난방으로 인한 도시가스를 절약 할 수 있습니다.





적정 온수 온도(40℃) 설정하기

가정에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는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수압을 강하게 해 뜨겁다 느껴, 다시 차가운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상황입니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 또는 목욕탕 온탕 온도(40℃)정도로 조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에서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 낭비와 아이들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보일러 외출 기능 이용

보일러를 완전히 끄면 일정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외출 기능을 활용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10시간 이내로 귀가한다면 외출 모드를 이용하세요.
한겨울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로 이틀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발표하는 한파주의보 발령 시에는 예약/외출 기능 대신 15℃ ~17℃ 정도로 실내온도 설정을 유지하면 동파를 막으면서 집안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일러 똑똑하게 이용하기

방 별로 코일의 길이가 달라 난방불균형이 발생하는데, 코일별로 회수 온도가 높은 방의 밸브 일부를 잠그고, 회수 온도가 낮은 방의 밸브를 열어둡니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만 닫을 경우 난방절약효과가 없기 때문에 주 차단 밸브 또는 사용하는 방 밸브를 조절해야 합니다.





보온용품 착용하기

내복, 히트텍 등 기능성 발열내의 및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 보온 용품을 착용하면 체감온도는 3도 이상 올라갑니다.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

온도조절기는 잠김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 주 차단(메인)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합니다.
또한 난방을 하지 않는 방에는 문을 닫아 두어 열 손실을 방지합니다.






보일러 청소의 생활화

연료의 연소로 인한 그을음이나 재와 물 속의 스케일 성분으로 열효율이 나빠지므로 가을철 사용 전에 내부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시가스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과 참여대상을 확인해보았습니다. 더불어 도시가스 절약 꿀팁과 가스 아끼는 방법을 공유드렸는데, 여러분도 소중한 에너지와 지갑을 아껴보세요. 👍

300x250